본문 바로가기

재테크/기술 탐방

마이크로바이옴


마이크로바이옴
은 미생물(microbe)과 생태계(biome)를 합친 말로 몸속에 100조 개의 미생물과 그 유전자를 일컫는다. 미생물군집에는 세균, 고세균, 원생생물, 균류와 바이러스가 포함된다. 우리 몸에 존재하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 human microbiome 을 들여다보면, 미생물이 어떻게 우리와 공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. 하여 제2의 게놈, 제2의 뇌로도 불린다.

 

최근 연구에 따르면, 장내 미생물의 변화는 면역기능,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.

장내 미생물은 사회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마이크로바이옴은 치매뿐만 아니라 파킨슨병, 조현병, 우울증, 자폐 등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끼친다는 증거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. 소화기관과 뇌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, 실제로 특별한 신경세포와 면역경로인 '장-뇌 축(gut-brain axis)'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이 연구들의 논리다.

일본 연구팀은 치매 환자와 일반 성인의 장내 세균 간 확연한 차이를 발견하면서 치매가 '전염병’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었다.

중국 충칭의대 Peng Zheng 교수팀은 조현병이 있는 군과 조현병이 없는 군을 비교했을 때 장내 세균의 차이를 발견했다(Science Advances. 06 Feb 2019; (5) eaau8317).

자폐증 환아의 대변을 이식받은 쥐의 뇌에서도 뚜렷한 유전자 발현 차이가 있었다.

얼마 전에 천랩(Chunlab)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민과학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. 
2주간 천랩에서 제공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고 매일 식사 및 배변상태를 기록한다. 시작 전에 채변을 통해 장내 미생물환경을 확인하고, 프로그램 참여하는 동안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3종과 위약 1종 중 무작위로 보내준 1 종을 섭취하고 마지막에 다시 채변을 통해 변화된 장내 미생물환경을 확인 할 수 있다고 한다. 

현재 우리나라외 미국, 영국등 다수의 나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한창이다. 

 

'재테크 > 기술 탐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에너지원 : 석유에서 LNG로 <조선업>  (0) 2019.10.22
EDGE COMPUTING 엣지컴퓨팅  (0) 2019.07.30